컴퓨터 이론66 14. 패리티 비트 생성기 및 검출기 04. 이진 코드와 에러검출 코드 이진 코드 가중치 코드 : 각 자릿수가 고유값인 가중치를 가진 코드 (BCD, 84-2-1, 2421 코드) 비가중치 코드 : 각 자릿수가 가중치를 가지지 않는 코드 (3 초과 코드, 2 out of 5 코드) 자보수화 코드 : 어 csh-study.tistory.com 이전 작성된 글을 보면 패리티 비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짝수 패리티를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려고 한다. 패리티 비트 생성기 패리티 비트 생성기는 입력 데이터의 비트들을 검사하여 패리티 비트를 계산하고, 이를 원래 데이터에 추가한다. 짝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한다고 하면 원래 데이터의 1의 개수가 홀수라면 추가되는 패리티 비트는 1, 원래 데이터의 1의 개수가 짝수라면 추가되는 패.. 2023. 12. 20. 13. 그레이코드 변환기 그레이코드란? 그레이코드는 이진수 체계에서 인접한 숫자 간의 비트가 하나씩만 변경되도록 설계된 이진코드이다. 이 코드는 회로 디자인과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된다. 특히, 노이즈나 에러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레이코드는 반복되는 패턴이 없어서 에러가 전체 비트에 퍼지지 않고 일부만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있다. 이진수 → 그레이코드 이진수에서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1. 최상위 비트는 그대로 가져온다. 2. 각 비트는 상위 한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여 그레이코드 비트를 생성한다. 변환 회로와 진리표는 아래와 같다. 그레이코드 → 이진수 그레이코드에서 이진수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1. 최상위 비트는 그대로 가져온다. 2. 각 비트는 이전 결과 비트와.. 2023. 12. 19. 12. 멀티플렉서 멀티플렉서는 여러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선택기, 데이터 멀티플렉서로도 불린다.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스위칭, 데이터 라우팅, 주소 선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으로 전달한다. 입력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선이 필요하며, 상태에 따라 특정 입력이 선택되어 출력으로 전달된다. 위 회로 처럼 제어선 S의 입력에 따라서 여러 입력 I0, I1, I2, I3 중 하나가 선택되어 출력으로 전달된다. 2023. 12. 18. 11. 인코더와 디코더 인코더 인코더는 입력 정보를 작은 수의 비트로 나타내는 디지털 논리 회로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코더는 다수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에 대한 이진코드를 출력으로 변환한다. 주로 데이터 압축, 데이터 전송, 센서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디코더 디코더는 인코더의 반대 개념으로, 작은 수의 비트로 나타낸 정보를 원래의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코더는 이진코드를 받아들여 하나 이상의 출력선 중 하나를 활성화시켜 준다. 주로 디지털 회로에서 특정 입력 패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우선순위 인코더 우선순위 인코더는 여러 입력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입력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장치이다. 입력된 비트 중에서 가장 높은 인덱스의 비트가 활성화되면, .. 2023. 12. 15. 10. 감산기 감산기 감산기는 두 이진수의 뺄셈 연산을 수행하는 디지털 논리 회로나 장치를 말한다. 가산기와 유사하지만 뺄셈을 수행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반감산기 반감산기는 하나의 비트에 대한 뺄셈을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감산기이다. 두 입력 비트(X, Y)를 받아들이고, 차와 빌림수를 출력한다. 차(Difference) D = X ⊕ Y 빌림수(Borrow) B = X' ⋅ Y 전감산기 전감산기는 반감산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여러 비트에 대한 뺄셈을 수행할 수 있다. 두 입력 비트(X, Y), 이전 단계에서의 빌림수(Bin)를 받아들이고 차와 빌림수를 출력한다. 차(Difference) D = X ⊕ Y ⊕ Bin 빌림수(Borrow) B = (A' ⋅ B) + (B' ⋅ Bin) + (A ⋅ Bin') 2023. 12. 13. 09. 가산기 가산기 가산기는 디지털 컴퓨터의 기본 구성요소 중 하나로, 두 개 이상의 이진수를 더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나 장치를 말한다. 이진수는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 체계이며, 가산기는 이진수를 다루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가산기의 주요 목적은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다. 가산기는 입력으로 두 이진수를 받아들이고, 각 자릿수를 더한 후에 그 결과와 함께 캐리를 출력한다.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가장 기본적인 가산기로, 두 개의 입력비트를 받아들이고, 합과 자리올림을 출력한다. 이 가산기는 자리올림을 입력으로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가산기와 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합(Sum) S = X ⊕ Y 자리올림(Carry) C = A ⋅ B 전가산기 전가산기는 반가산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반가산기에서는 자.. 2023. 12. 12.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