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
데이터 모델 구성요소
연산 :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 조작하는 기본 도구 (관계대수, 순수관계)
구조 : 논리적인 개체 타입 간의 관계,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을 표현
제약 조건 : DB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조건 (개체 무결성)
개념적 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를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
대표적인 예시로 E-R모델이 존재한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
목표 DBMS 설정, 스키마 설계, 정규화 수행
논리 데이터 모델링 속성 : 개체(직사각형), 속성(타원), 관계(마름모)
논리 데이터 모델링 종류 : 관계 모델(2차원 테이블), 계층 모델(트리), 네트워크 모델(그래프)
물리적 데이터 모델
객체 생성(테이블, 인덱스, 뷰 등), 반정규화 수행,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체화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데이터 입출력 구현 (정규화 및 그 외) (0) | 2023.04.10 |
---|---|
15. 데이터 입출력 구현 (관계 대수, 관계 해석) (0) | 2023.04.10 |
13. 화면 설계 (UML) (0) | 2023.04.05 |
12. 화면 설계 (UI) (0) | 2023.04.05 |
11. 요구사항 확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0) | 2023.04.04 |
댓글